본문 바로가기

여행

부산의 숨은 서점 골목길, 문학 속 도시 산책

1. 영도 흰여울길의 문학적 매력, ‘동네책방 연’

부산 영도의 흰여울길은 바다를 옆에 두고 이어지는 아담한 골목이다. 이곳에는 바람소리와 파도소리 사이로 숨은 서점 하나가 자리 잡고 있다. 바로 ‘동네책방 연’이다. 흰 벽돌 건물에 자리한 이 작은 서점은, 마치 문학 한 페이지 속에서 튀어나온 듯한 감성을 자아낸다.
‘동네책방 연’은 독립출판물과 소규모 에세이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간 자체가 하나의 문학작품처럼 꾸며져 있다. 서가에는 부산 지역 작가들의 작품이 특별 진열되어 있고, 바다와 연계된 문학 테마 도서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진다.
이곳은 단순한 책 판매처가 아니라, 독자가 글을 쓰고 낭독하며 문학을 체험하는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주말에는 ‘작가와의 대화’나 ‘필사 모임’ 등 독서 문화 프로그램도 진행되며, 여행자와 지역 주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특별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2. 전포카페거리의 힙한 감성, ‘문우당서점’

부산 서면 인근의 전포카페거리는 젊은 감성으로 가득한 공간이다. 그 중심에서 차분한 분위기로 이목을 끄는 곳이 바로 ‘문우당서점’이다. 겉보기엔 평범해 보이지만, 안으로 들어서면 깊이 있는 큐레이션과 독립서점만의 정체성이 드러난다.
‘문우당서점’은 문학, 철학, 예술 분야의 책을 중심으로, 젊은 세대에게 자기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독립출판 에세이나 짧은 시집, 해외 문학 번역본 등이 정갈하게 진열되어 있으며, 책 위에는 서점 주인의 손글씨 추천사가 덧붙여져 있어 읽는 이로 하여금 몰입을 유도한다.
무엇보다 이곳은 ‘혼자 읽고, 함께 나누는 독서의 맛’을 살리는 북클럽 프로그램이 활발하다. 카페와 서점의 경계가 무너진 이 공간에서, 문학은 일상 속 감성 회복의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골목이라는 공간성과 문학의 만남이 주는 힘은 매우 크다.

3. 감천문화마을에서 만난 책, ‘감천책방 소담’

감천문화마을은 부산 여행에서 빠질 수 없는 대표적인 감성 스폿이다. 다채로운 색채의 벽화마을 속, 문학을 테마로 하는 특별한 공간이 있다. ‘감천책방 소담’은 그 이름처럼 아기자기하고 따뜻한 분위기의 작은 서점이다.
이곳은 지역 주민과 여행자 모두에게 열려 있으며, 동네 어르신들이 기증한 책과 작가들이 남긴 필사 노트, 지역 작가의 작품 등이 함께 전시·판매된다. 단순히 책을 소비하는 공간이 아니라, 지역의 삶과 문학이 연결되는 문화 플랫폼이다.
‘소담’에서는 직접 책을 써보는 워크숍, 캘리그래피로 문장을 적어보는 체험 등이 진행되며, 여행자에게는 감천의 정서를 깊이 이해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된다. 감천문화마을을 문학의 눈으로 바라보는 이 책방은, 도시의 다른 결을 보여준다.

부산의 숨은 서점 골목길, 문학 속 도시 산책

4. 부산 책방 골목의 현재, ‘보수동 헌책방 거리’

부산 중구 보수동은 오랜 역사와 함께한 헌책방 거리로 유명하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 전통 헌책방이 하나둘 문을 닫으면서 이 공간은 서서히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꿋꿋이 자리를 지키고 있는 몇몇 서점은 책과 골목의 낭만을 지켜주는 마지막 보루다.
대표적인 서점 중 하나는 ‘삼일서점’으로, 이곳은 문학 고전과 절판도서, 외서까지 폭넓은 장르의 책을 보유하고 있다. 헌책 특유의 향기와 오래된 종이의 질감은 그 자체로 독서의 깊이를 더해준다. 이 거리는 단순한 상업공간이 아니라, 부산 문학의 지층을 보여주는 아카이브에 가깝다.
최근 젊은 감성의 카페와 문화 공간이 일부 들어오면서, 보수동은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독특한 문학적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과거 작가들이 찾던 이 골목은 이제 새로운 세대와의 대화를 이어가며 ‘살아있는 책방 거리’로 거듭나고 있다.